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뇌와 대장

반응형

한의학과 기능의학 5 뇌와 대장의 관계 2

인간의 장은 태어날 때 무균상태이고 양수,태반, 태변에서 박테리아 DNA 의 근거가 증명되고 있습니다.

 

생후 한살정도 지난후에는 장내 박테리아가 성인과 비슷하게 되지만 개개인이 고유한 장내 박테리아를 갖게 되며 숮자는 100조개가 됨니다.

기능의학에서 뇌와 대장과의 관계는 중추신경, 호르몬, 신경면역, 교감 부교감신경, 미주신경, 장내 미생물총을 포함합니다.

뇌와 대장과의 관계는 쌍방향이여서  뇌는 장에 영향을 미치고 장은 뇌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내용들은 공개된 저널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총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점막 면역 시스템 조절

위장관 운동을 도와주고 조절

상피막 보호 기능에 매우중요한 역할

소화와 주요 신진대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

장내 병원균으로부터 보호에 매우 중요한 역할

 

만약 대변 검사에 장내 병원균이 발견되면 이것은  대부분 장내 좋은 미생물총의 균형이 깨어졌거나 낮은 상태를 의미합니다.

 

인체의 장내미생물총이 중추신경계에 미치는 영향은 아주 일치기 시작됨니다.

이것은 동물 실험으로 무균의 생쥐를 스트레스에 노출시킨후 스트레스 반응으로  코티졸과 ACTH레벨이 상승하고  이것을 좋은 장내 미생물총이 많아지게 함으로서 조절시킬수 있는 것으로 밝혀진 처럼 인체에 있어서도 스트레스 반응으로 장내 세균총이 불균형을 초래하고 그러한 불균형이 평생동안 지속될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미국에서 신생아의 세명중 한명이 제왕절개로 태어나는데 이런경우 산도에서 박테리아에 노출되지 못하여 자가면역질환에 걸린 확률이 높아지게 됨니다.

 

장내 미생물총 균형은 항구적으로 장기간에 걸친 건강문제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 간과 관련된 뇌병증 환자, 간기능 장애로 인한 인지장애, 진정, 치매, 혼수 상태등등의 환자는 물론이고 만성질환 환자들을 치료할 반드시 염두해둘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