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침법 담정격의 임상활용
담정격 : 중완압통 이 심해야 한다. 더불어 복부비만이나 복부운동저하가 있으면 좋다.
精氣交合이 안되면 중완에 담음이 생겨서 중완압통이 생기기 때문.
[각족전근(脚足轉筋)
담정격증(膽正格證)의 쥐나는 사람의 특징은, 몸을 적게 움직이는데도 불구하고 근육 경직이 수시 일어난다. 마른 사람들보다는 다소 통통한 체형이 많다. 성격적인 특징은 다혈질은 아니며, 다소 주눅들어있는 경향이 있다. 실열(實熱)체질은 아니다. 이상과 같은 체질의 쥐나는 것은 담정격(膽正格)을 적용하면서 추가로 합곡(合谷)은 사(瀉) 하고 태충(太衝)을 보(補)해주면 간접적인 간승격(肝勝格)이 되므로 근육이 경직되어 발생하 는 각족전근(脚足轉筋)에 큰 도움이 된다. [출처] 集大成 舍巖經註釋 脚氣門 341 제 32장. 각기문(脚氣門)
[담정격과 心膽虛怯]
30년간 자주 놀라시는 증상으로 힘들어하셨던 분이 계십니다. 30년 전 천둥이 칠 때 크게 놀라신 이후 자주자주 놀라시는 것이 주소였습니다. 맥은 약하고, 빠르며, 떠있고, 좌측 관, 척맥은 약하고(담, 방광 허) 좌측 촌, 우측 촌관맥은 강한(소장 대장 위 실) 분이었습니다. 증상도 일치하여 신부전이 있으시고, 허리가 항상 아프시며, 이명이 있으신 분입니다. 이분께 담정격을 일주일 2번 놔드리는 것을 3주일간 진행했습니다. 오늘 이야기하시는데 요새 들어 놀라는 때가 거의 없을 정도로 괜찮다고 하십니다.
황제내경 소문 영란비전론에 보면, 쓸개는(膽者) 몸과 마음의 중심을 잡아주는 기관(中正之官)으로, 결단이 나온다(決斷出焉)고 되어 있습니다. 가운데에서 중심을 잡아주는 기관이며, 무엇인가를 추진하게 하는 木氣인 것이지요. 이러한 쓸개와 심장이 약해지면(心膽虛怯) 자주 놀란다고(易驚) 동의보감 驚悸편에 되어 있습니다.
담정격은, 담경락과 쓸개에 기혈을 모아주는 침법입니다.
고전에 쓰여있는 단서 하나하나가 인체를 다스리는 힌트입니다.
[출처] 쓸개와 놀람. 담정격.|작성자 시은
[수면부족으로 인한 자율신경 변화에 대한 치료]
담정격이 수면부족으로 인한 자율신겅 변화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밤번 근무 후 간호사를 대상으로 n=1 tria1을 시행하여 스트레스 정도와 HRV 가 상관관계룰 나타내므로 스트레스는 교감 신경을 흥분시키고 부교감신경을 저하시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담정격과 임의혈 자침 전후의 HRV변화를 관찰하여 Bayesian 분석으로 분석한 겨로가 담정격 자침은 임의혈 자침에 비하여 LF(NU)와 LF/HF를 유의하게 감소 시켰고 HP(NU)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출처]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총통침법 담의 처방
1)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하다. 가슴이 두근두근하다.
담은 용겁과 결단을 주관하므로 담에 병리가 발생하면 마음이 불안 초조하며 두근거린다.
2) 겁이 많고 잘 놀란다(선경, 겁 심) 한숨을 자주 쉰다(선태식) 가슴이 답답하다.
담음이 부족하면 마음이 불안하고 초조하며 가슴이 두근거리며 겁이 많고 잘 놀라게 된다. 때론 한숨을 쉬어야 속이 편하다는 말을 하기도 한다.
3) 불면증, 작은 소리에도 잘 깨며 잠을 푹 자지 못한다, 기면증
담에 문제가 생기면 수면장애가 생긴다. 일반적으로 담음이 부족해지면 잠이 잘 오지 않고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담화에 의한 열울을 동반하면 그 증상이 더욱 심해진다. (.
4) 측두통, 목예자통, 이명, 중이염, 입이 쓰다(구고)
측두통은 말 그대로 머리 한쪽이 콕콕 쑤시거나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말한다. 이럴 때 보통 목예자통이나 미릉골통 경련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귀에서 소리가 나거나 염증이 생길 수도 있으며 입이 쓴 경우도 있다.
5) 악관절통(함통)
족소양담경은 대영이나 협차 등의 경혈을 교회하며 턱을 지나 순행하므로 탁관절과 연관이 많다. 그러나 턱 주위를 지나가는 경락은 족소양담경 뿐이 아니며 수태양소장경, 족양명위경, 수양명대장경, 수소양삼초경 등도 턱관절과 관계가 있다.
6) 항척여추(풍지,완골) 견정압통
족소양담경의 소속인 풍지와 완골은 항강통에 자주 활용되는 경혈이다. 또한 견정은 족소양담경의 경혈 중에서 유일하게 어깨를 지나는 경혈로서 경결과 압통을 확인하여 담의 이상을 진찰하는 포인트로 활용한다. 항척여추라는 표현은 사암도인침구요결의 요통문에 나오는 것으로 담정격이 치법으로 제시되어 있다. 항척여추라는 것은 뒷목과 척추에 무거운 추를 매달아 놓은 것처럼 힘들다는 의미이다.
7) 결분중종통, 액하종, 마도협영, 라력, 주마담
담으로 인한 질환 중에 멍울이 생기는 증상이 있다. 결분이나 겨드랑이에 멍울이 생겨서 통증이 생기거나 마도협영, 라력, 주마담과 같이 멍울이 여기저기 생기며 통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8) 심협통, 불능전측, 협륵통, 가슴이 조이거나 찢어지는 듯이 아프다.
가슴과 옆구리가 아파서 몸을 돌리기 어렵거나 가슴이 조이거나 아픈 증상은 담의 경락병이거나 담열에 의하여 발생한다
9) 담석증, 흉협고만, 소화불량, 속 쓰림
담석증으로 인해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 환자를 종종 보게 된다. 대부분 담음부족으로 인한 정서적인 증상이나 근관절계통의 문제를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양방에서는 담낭은 떼어버려도 된다고 하지만 담낭 절제술을 한 환자들은 담과 관련돼 계통의 질환으로 고생을 한다. 흉협고만은 일월을 입체적으로 생각하여 간담의 이상을 확인할 수 있는 포인트이다. 담의 모혈인 일월과 간의 모혈인 기문이 유두 아래쪽의 갈비뼈 사이에 위치한다. 일월과 기문의 압통 반응을 확인하는 것보다는 흉협고만을 확인하는 것이 훨씬 더 유의성이 있다. 담은 소화의 과정에 일정 부분 관여하므로 복부를 진찰하였을 때에 다른 부분에 특이사항이 없이 뚜렷한 흉협고만이 확인되는 경우에 소화불량과 속 쓰림을 호소하면 (협계통곡+)를 사용하거나, (양보양곡-)혹은 (양보지구-)를 활용하면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경험할 수 있다.
10) 비슬외지경 절골 외과전 급 제절개통, 소지차지불용
11) 뼈마디가 아프고 삭신이 다 쑤신다. 통풍, 행비풍승
보통 삭신이 다 쑤시고 뼛골이 아프다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통풍은 특정 부위가 몹시 아픈 증상을 말하며 행비풍승은 통증이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것을 말한다.
12) 한출진한, 학
한열왕래의 증상을 의미한다. 한열왕래는 소양병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흉협고만, 심번희구, 묵묵불욕음식 등과 함께 4대 증상 중에 하나이다. 엄밀히 말하자면 흉협고만, 심번희구, 묵묵불욕음식은 담에 해당하는 증상이며 한열완래는 삼초에 해당하는 증상이다.
13) 알레르기 비염.
내경에서는 담이열어뇌 하여 비연이 생긴다고 하였다. 이런 경우에 보통 재채기를 심하게 하며 콧물이 흐르는 알레르기 비염의 양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제 개인의 담정격에 대한 임상 경험은 담석증으로 인해 담낭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 카이프로택 오피스에서 같이 일하하던 필리핀계 직원인데담당제게 수술로 인하여 10년이상 식후 전중압통, 속이 더부룩하고 만성 소화 불량에 시달려서 같이 일할때 틈틈히 시간이 있을때 치료를 해주었는데 치료를 많은후 소화불량이 호전되고 밤에 잠도 잘 잘수 있다고 무척 고마워했던 일을 통해서 담정격의 효과를 경험할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