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침법 대장정격
세계에서 비만인구가 2번째로[27] 많은 나라이며, 비만율로 따지면 1위이다. 이 때문에 미국인 하면 매우 뚱뚱하다는 이미지도 같이 가지고 있다. 실제로 미국의 비만율은 OECD 비만 통계 순위에서 항상 최상위권에 위치한다. BMI 30을 비만 기준으로 적용할 때 전 인구의 30퍼센트 이상이 비만이며, 이 수치는 계속해서 증가 중이다. 오바마 정부에서 비만 퇴치를 위해 많은 캠페인을 벌였으나, 유의미한 효과는 없었고 현재까지 근 10여년간 세계 비만율 1순위를 놓고 멕시코와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며 경쟁하고 있다.
미국인 전체 남성 평균 신장 175cm[28] , 체중 91kg. 백인 남성 평균 신장 177cm , 체중 92kg[29], 흑인 남성 평균 신장 175.5cm, 체중 94kg, 히스패닉 평균 신장 169.4cm, 체중 86kg로 평균 신장 170cm, 체중 73kg인 아시아계들을 제외한 나머지 인종들은 한국 기준으론 이미 비만인구가 절반을 거뜬히 넘어 거의 70%를 육박해간다. 그런데 미국은 BMI 30부터 비만으로 치기 때문에 공식적인(?) 비만율은 35% 정도로, 즉 1억 명에 해당하는 사람이 한국으로 치면 고도비만에 해당한다. 미국 기준으로 한국의 비만율을 따질 경우 남자 6%, 여자 5.1%라는 매우 낮은 수치가 나온다. 참고로 한국에서 보기 힘든 초고도비만(BMI 40 이상)인 사람들도 10%, 약 3200만 명으로, 숫자로 따지면 한국 인구의 70%에 육박한다. 한국 20대 남성 평균 신장인 173cm 기준으로 BMI 40이 나오려면 체중이 무려 121kg이어야 한다. – 나무위키 미국인 자료인용
저의 개인 임상경험에서 이와같이 많은 미국 환자들이 근골격계통 질환과 관련하여 내원하는데 그 원인중 하나가 비만으로이고 이런 비만환자들의 근골격계통 질환 치료에 사암침법중 대장정격을 사용했을경우 환자들의 반응이 좋았던 경험을 토대로 사암침법 대장정격 자료를 정리,요약한 내용을 소개해드림니다.
大腸正格 ■
大腸正格의 구성과 의미
大腸正格 : 足三里, 曲池 보; 陽谷, 陽谿 사
*‘足三里, 曲池 보’는 陽明經의 合土穴만의 배오이므로 陽明經의 기능을 정상화시키고 ‘逆氣而泄’을 다스릴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 足三里는 中氣를 부익하고 胃氣의 정상화를 통해 습의 정체를 다스리며 진액을 전신에 유포시키는 역할을 발휘합니다.
大腸의 기능 정상화 에 중점을 둘 경우 足三里 대신 大腸의 下合穴인 上巨虛로 대신하기도 하며 습담의 정체가 주 가 된다면 豊隆을 배합하거나 이로 대치할 수도 있습니다.
한편 기가 상역하면 열로 화할 수 있는데 이를 陽 明 經 을 통해 제어할 수 있습니다. 한편 ‘陽谷,陽谿 사’는 열에 의한 진액의 손실을 막아 진액의 정상적 산생과 소통을 돕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大腸正格의 주요작용은 陽明經의 정상화를 통해 濁陰을 하강시키며 淸陽과 진액의 상승을 유도하는 升淸降濁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淸陽이 상승 하기 위해서는 탁음의 하강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四聖心源』에서 “中氣衰則陰陽不交, 而燥濕偏見”이라 하였듯이 비위로 대표되는 中 氣 의 운 행 이상은 燥 나 濕 의 편승을 초래하게 되는데 大腸正格은 化濕, 降濁작용을 통해 濕濁의 과잉 을 제어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大腸主津’의 기능을 정상화시켜 진액이 濕濁으로 화하지
않도록 하고 濕熱을 다스립니다.
『醫學入門』에서 淸熱燥濕에 補中을 겸하는 것이 습열을 다스리는 방법이라고 하였듯이 中 氣 운행의 정상화는 습열증 치료의 관건입니다. -김관우 원장님의 실전사암침법
대장정격은 경근으로 보면, 둘째 손가락에서 이어지는 손과 팔의 근육, 극상근, 능형근, 흉쇄유돌근, 얼굴 옆쪽의 근육들과 연결이 됩니다. 능형근은 상부쪽 능형근이 확실한 대장경의 라인이 되고, 하부쪽 능형근은 폐경락의 중자, 중선혈을 통해 다스릴 수 있겠습니다.
능형근의 통증은 사실 여러부위와 관련이 됩니다. 목에서 나오는 신경으로 인해 사각근과도 관계하고, 지금보는 대장경과도 관계됩니다. 중자, 중선혈은 폐경인데 방광경과 상통하므로 견배부위를 다스린다고 했는데, 그렇게 볼수도 있겠고, 폐경이 앞쪽의 가슴근육들을 조절하면서 뒤쪽의 견배쪽도 치료한다고 볼 수도 있겠습니다. 견갑의 움직임에는 여러가지 근육들이 관여하죠. 견갑자체가 여러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인데, 마치 하체의 골반이 여러방향으로 틀어질 수 있는 것과 비슷합니다.
방광경 1 line을 보면 대저-풍문-폐수-궐음수-심수-독수-격수 배수혈이 위치하는 곳이기도 하죠. 심폐와 밀접한 연관이 있겠습니다. 능형근만 봐도 많은 경락들이 연결되는 것을 알 수 있죠? 경락을 선별해서 취혈하는 것이 어려울 수가 있는데, 그렇기 때문에 근육의 문제를 원위취혈할 때는 관련되는 경락이 어떤 것인가를 보고, 각 경락의 특성을 잘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동씨침의 오령혈이나 삼금혈과도 대응이 되는 곳입니다. -경희스마일 한의원 최원장님의 대장정격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