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本草 – 語義와 語源을 찾아서
다음의 신재용 선생님의 ‘알기쉬운 한의학’ 내용을 정리,요약한 것입니다.
[본초의 語源]
우리 말 사전을 펼쳐 보면 ‘본초’란 낱말은 한약재나 한약학을 일컫는 말로 풀이되고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은 어떻게 해서 그 낱말이 그런 뜻을 지녔는지 정확히 어원을 아는 이는 별로 없다. 본약 한약은 생활에서 얻어진 경험 의약에서 비롯하였다. 그러므로 어디까지나 귀납적이고 실증적이다. 동양에서 이 경험들을 맨 처음 집대성하고 체계화한 것은 중국이고 한약하면 그 원조를 중국에서 찾는다. 반고(A.D 32-92)가 쓴 韓書 교사지의 성제편에 本草란 말이 등장하는데 本草란 낱말은 반고의 한서가 편찬된 이후에 생겨 오늘에 이르는 것이다 .
[본초의 어의]
후촉의 한보승에 의하면 “ 약에는 玉石(광물류를 통칭), 蟲獸(곤충, 동물류를 통칭)가 있는데 本草라 말한것은 여러 가지 약중에서도 草류가 가장 많고 또 초근 목피가 근본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本草라 한다.” 고 하였다.
本草란 낱말은 반고의 한서에서 처음 문자화되었고 한약에서 대종을 이루는 것이 草이므로 本草라 이름하여 되었으며, 한약재를 연구하는 학문을 본초학이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