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침법과 진단법
사암침법 진단과 치료에 있어서 필요한 한의학 진단에 대해 자료들을 요약해서 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한의학 변증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팔강변증(八鋼辯證)
2.장부변증(臟腑辯證)
3.경락변증(經絡辯證)
4.육경변증(六經辯證)
5.위기영혈변증(衛氣營血辯證)
6.삼초변증(三焦辯證)
고래로부터 의가들이 주로 사용한 변증방법이 장부변증과 경락변증이 있습니다
장부변증
장부변증은 인체의 질병을 오장육부의 균형이 무너진 탓에서 온다고 보고있습니다
오장육부의 한열,허실,표리에서 질병의 원인을 찾고있습니다
이들 오장육부의 생리적 특성을 장상론으로 규명하고 장부상호간에 균형과 견제를 오행의 상생상극의 원리에 의해 해명합니다
한 장부의 질병이 다른 장부에 미치는 영향등을 분석하여 오장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질병을 분석하고 이에대한 치료를 논한 것으로 동양의학의 변증법에 가장 중요한 도구입니다
특히 음식으로 상한 병이나 음식과 약에 의한 치료는 그 질병이나 치료 약이藥餌가 곧 바로 오장육부에 작용하므로서 약물이론은 장부변증을 기반입니다
침구에 있어서도 장부변증은 경락변증과 함께 주요 변증방법이고 복모혈,배유혈,오행혈은 오행을 바탕으로한 장부변증과의 연계가 필수적입니다
장부변증은 오장육부를 인체의 생리활동에 있어 근간을 이룬다고 보고 있습니다
육음사기와 오사 내생의 병사가 모두 장부에 영향을 미쳐 병을 발생시키므로, 장부의 허실,한열등을 바로 잡아 인체를 음평양비의 상태로 만들면 병이 치료된다는 가설에 입각합니다
오장육부중 어느 한 장부의 표리한열허실은 물론 한 장부의 질병이 다른 장부에 미치는 영향등을 변증하고 그에 따른 치료를 합니다
경락변증
경락변증에서 인체는 내외와 상하 좌우가 경락으로 연결된 통일된 유기체 입니다
오장육부에서 부터 근골,피육에 이르기 까지 경락이 그물망 처럼 전신에 분포되어 있어 기혈의 운행통로로서 작용합니다
육음사기에 의한 외감병이나 인체내의 기혈진액이 실조되거나 오장육부의 불균형으로 인한 내외 불인의 충수상,자상을 포함한 모든 질병이 오장육부와 사지백해를 이어주는경락을 통하여 병증이 반영됩니다
따라서 경락의 반응을 따라 질병을 변증하고 경락이 체표에 이르는곳에 있는 경혈을 자극하여 이를 치료합니다
장부변증은 장부의 불균형에서 병의 원인을 밝히려고 합니다
경락변증은 장부와 경락간의연결관계에 따라 장부의 질병이 경락을 통해 체표로 나타나고 육음의 사기는 경락을 통하여 장부로 침투하므로 오장육부의 질병외에도, 오장육부와 연결된 경락에만 질병이 나타나는 경우,장부의 낙속관계와 무관한 기경팔맥에 병사가 침투한 경우 등으로 12정경의 경락변증은 장부변증과는 다른 병증을 나타냄니다
경락변증은 기경팔맥,12경별,15낙혈,12경근,12피부에 대한병증을 논합니다
장부변증과 경락변증의 상호보완
장부변증은 오장육부를 중심으로 오장육부간의 표리관계,상생상극관계에 의한 타 장부로 전이등을 다루어 인체의 질병의 발생 원인이 장부간의 균형상실에 의한 것임을 이론적 기초로하고 있습니다
오장 상호간의 허실과 병의 발전기전 등을 탐구하고 한 장부의 병이 타 장부에 전이되는 되어 2개 이상의 장부가 겸병이 발생한 경우 어느장부를 먼저 치료할 것인지 아니면 두개의 장부를 동시에 치료할 것 인지 등에 관한 치병을 논한 것으로 장부의 변증과 논치에 그 이론적 바탕을 두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장부 상호간에 작용은 세밀히 분석하면서도, 병사가 장부에서 장부로 전이하는외에 경락을 통하여 체표에 그 증후를 나타내는 사실을 간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외감 사기의 경우,
병사가 장부에 들어가기 전에 먼저 체표과 경락에 머무르다가 경락의 유주를 따라 더 체내로 깊히들어 온다는 사실이 6경변증,위기영혈변증 등의 지론입니다
외감사기는 12경근,12피부,손락,부락등 인체의 체표에 먼저 침입하고 경락의 전경을 따라 점점 더 깊히 들어와 궁극에는 오장육부의 병으로 되는 것인데, 5장6부에 이르기 전의 병증에 대한 변증과 치료에 대한 논치가 없습니다
육음사기이든 오장육부의 병기이든 모두 경락을 통하여 병증이 나타나므로 경락은 육음의 邪氣가 인체로 침입하는 통로가 되고, 사기가 체표로 발산되는 경로이므로 오장육부의 병이든 경락의 병이든 간에 경락을 통해 병사의 증후를 반영합니다
그러므로 그 병후가 나타나는 경락의 순행노선에 통증,경결,마비등 이상반응이 나타납니다
이 이상반응을 근거로 어느경락이나 어느장부의 질병인지를 판단하고 이 경락을 침구로 자극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 경락변증에 의한 치료방법입니다
이 경락변증은 막힌경기를 소통하거나 경락의 자극만으로 치병을 할 수있는 경우 매우 유효한 변증 치료방법이지만, 장부의 허가 심하여 경락의 자극 만으로치료가 어려운 경우에는 난치한 병으로 되거나 약이藥餌와 병행하여야 할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실증의 병은 침구가 유효하지만, 허증의 병은 침은 보법만으로는 되지 않을경우가 있고 뜸은 약간의 보하는 성질이 있으나 그 시간이 오래 걸리고 병이 호전된 이후에도 장기간 뜸을 계속해야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사암침법에서 장부변증과 경락변증을 동시에 사용하여 환자를 치료하여야 효율인 치료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