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암침법 수태음 폐정격 증상에 대한 수태음폐경 증상들을 임상에 적용하기

반응형

사암침법 수태음 폐정격 증상에 대한 경맥별 치료증상들을 임상에 적용하기

임상에서 사암침법 폐정격을 활용하기 위한 방법중 수태음폐경에 관련된 증상들을 임상에 적용하는 것에 대해 설명해드림니다

먼저 사암침법 수태음 폐경의 구성에 대해 설명해 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수태음 폐정격 구성 설명

 수태음 폐정격은 태백 태연 보  소부 어제 사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암침법은 조선시대 사암도인이 창시한 침법으로, 오행(木火土金水) 상생상극 원리에 따라 사지말단의 오수혈을 이용하여 질병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한국침법입니다

사암침법은 구성원리에 따라 정형과 변형, 경험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정형의 경우  『난경(難經) 69난에서 말하는 허즉보기모 실즉사기자 虛則補其母 實則瀉其子 원칙에  허자억기관, 실자 보기관虛者抑其官, 實者補其官 원칙을 결합시켜 자경(自經) 타경(他經) 경혈들로 보사(補瀉)하여 치료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폐경락(脾經絡) () 경우 수태음폐경의 모혈(母穴) 태연(土穴) 보하고, 폐경의  경락인 족태음비경의 土穴인 태백을 보합니다

또한 虛者抑其官 원칙에 따라 폐경의 火穴인 어제와 심경의 火穴인 소부를 사하여 치료하며, 이를 폐정격(肺正格)이라 합니다).

[자료출처 사암도인침법의 통증 질환 접근법에 대한 고찰 논문 내용 인용]

 

정통 사암침법 경맥별 증상 정리 요약

 수턔음페경 경맥별 증상에 대한 정통 사암침법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통 사암침 관점에서의 수태음 폐경 경맥별 증상

1가슴 답답

 2갑상선 비대

3거친 피부

4기관지염

5늑막염

6모든 호흡기 질환

7비염

8빈혈

9사스 (SARS 또는 S.A.R.S.),

10소변에 피가 섞임

11 바닥

12수족 냉증

13쉽게 피로

14앨러지

15앨러지성 비염

16어깨 통증

17연주창

18요골 신경통

19인후염

20잦은 소변

21천식

22축농증

23코골이

 24편도선염

25폐결핵

26폐렴

27폐암

28해수

 [자료 출처 정통 사암침법 경락별 증상]

 

한의학의 동병이치 이병동치

 한의학은 병명이나 증상이 같더라도 맥락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짐니다 

병명이나 증상이 다르더라도 추상적인 맥락이 같아지면 치료법이 같아집니다

즉 폐정격으로 치료되는 병은 병명과 증상이 다른데도 폐정격을 쓰는 것입니다  

경맥별 증상들은 꼭 그 경맥의 허실 또는 한열로 인해서 나타나는 것만은 아닙니다.
맥진이 정확해야지만이 완전한 진단이 가능게 되고, 올바른 처방을 내릴 수 있게 되고,
또 정통사암침으로써 치료를 하게 되면 매우 빠른 효과가 나게 되는 것입니다.
폐가 허한 증상일 때에도 단순히 폐정격만 생각하게 되면 3류 또는 4류 한의사가 됩니다.
폐정격, 신정격 심지어는는 간승격까지도 오장육부의 역학 관계에 따라 선택해서 써야 합니다.
이렇게 할 수 있기 위해서는 결국은 진맥을 정확하게 하지 않으면 불가능합니다.
위의예에서처럼 폐정격만을 쓰게 될 경우에는
소 발이 쥐 잡기 식으로 나을수도 있고낫지않 을수도 있습니다.
올바른 진맥을 할 수 있다면 폐 질환을 치료하면서도
환자가 알려주지 않았던 질환까지 동시에 치료가 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바로 이 것이 정통사암침이 바로최고의 의술이 될 수밖에 없는
많은 이유들 중의 하나인 것입니다.
 
개인 의견
맥진은 사진에 한부분이고 사진합참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사암도인 침구요결에 맥진으로 치료한 내용이 나오지 않습니다. 
맥진은 상대적으로 주관적인 치료이고 객관적인 치료로서의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월오 김경조 선생님, 김홍경 선생님 사암침법, 총통침법, 전현우 선생님, 윤동원 원장님 사암침법등에서는 맥진만으로 진단을 하지는 않습니다. 
월요 김경조 선생님의 예를 들어 보면 다음가 같습니다. 
월오 김경조 선생님
어느 처방을 써야할지 결정하는 것은 허실한열의 주변정세를 살펴야합니다
 거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생각을 하고 12경락에 대해서 허실한열증에 대해서 본다고 하면 
폐가 허하면 피부가 마르고 복통이 있다가 설사를 했다가 다시 복통이 있기도 하고 
폐적이라고 해서 우측부위 적 예를들면 간암, 간경화등이 있기도 하고 이때는 폐정격을 써볼수있습니다 
허리가 구부러져서 땅짚고 고개만 들고 다니고 매사가 답답해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위벽이라고 해서 다리 한쪽 뒤꿈치를 땅에 닿지 못하고 걷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것은 증세를 보고 치료를 하면됩니다
장부변증이니해서 상호관계를 복잡하게 생각할 수가 있는데 이런 것을 생각해볼수가 있습니다
상극관계란 한쪽이 성하면 한쪽이 허하다고 보는데 꼭 이렇게 시소가 아닙니다
사람이 생활하는 것은 같이 보면됩니다

 

사암치조경험례(舍岩治燥經驗例)에서의 폐정격(肺正格) 활용

사암치조경험례(舍岩治燥經驗例)에서의 폐정격(肺正格) 활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사암치조경험례(舍岩治燥經驗例)

(2) 담화(痰火)

(3) 울담(鬱痰)

(4) 곡창(穀脹)

(5) 폐허(肺虛)

(6) 원기쇠약(元氣衰弱)

(7) 기설(氣泄);기체(氣滯)

(8) 목후두통(沐後頭痛)

(9) 장궁노현(張弓弩弦)

(10) 우협통(右脇痛)

(11) 기산(氣疝)

(12) 위벽(위벽)

(13) 피비(皮痺)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