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암침 동씨침 2주 간단 정리

반응형

사암침 동씨침 공부 2 간단 정리

 

저희를 위해 수고해 주시는 아마협회 모든분들과 함께 참여하신 모든 원장님들께 감사를 드림니다.

 

PART I  임상은 총체적 그림에 대한 이해

PART II 침구처방의 형성과 발전

PART III 舍巖鍼法 총론

PART IV 사암침 개인임상 경험

 

PART I  임상은 총체적 그림에 대한 이해

환자와의 유대관계의 중요성

환자 리뷰의 중요성

환자 치료만큼 중요

Build your relationship while you are treating.

 

Top 7 Techniques for Building a Stronger Doctor-Patient Relationship

1.       Practice clear communication. ...

2.       Don't be shy. ...

3.       Ask to be involved. ...

4.       Make your goals clear. ...

5.       Listen. ...

6.       Be persistent and patient. ...

7.       Be understanding.

 

환자관리 성공사례

개원 5년만에 받은 “PEOPLE LOVE US ON YELP” 2020

환자에게 근본 치료의 중요성을 교육시키기 위해 명함에 근본치료 입력

Tell the Patient what you are doing

 

환자가 가장 많이 질문하는 것중의 하나이여서Acupuncture Conations to treated 명함 뒷편에 인쇄해서 환자가 질문할때 마다 보여줌

치료만 잘해서 되는것은 아니다. 환자치료만큼 중요

 

환자관리 실패 사례들

진상환자

Yelp:  One Star, Two Start Reviews

저도 한때는 임상가로서 환자치료 치료만 하면 된다고 생각한적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임상에서  환자 못지 않게 재정과 환자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고 있어서 여러분에게도 부분을 말씀드리고자 했던 것입니다.

 

또한 제가 그림에서 진단툴들과 치료툴들을 보여드렸듯이 수많은 진단툴들가 치료툴들중 어떤것들을 선택해서 자신에게 맞는, 자신의 주특기가 될만한 것들을 선택해서 임상에서 활용하실수 있기를 바람니다.

 

PART II 침구처방의 형성과 발전

제가 준비한 것들은 여러분들의 시간을 아낄실수 있도록 제가 대신해서 Reference 기반으로 요약 정리 하고 개인의 임상경험을 바탕으로 필요하고 중요한다고 생각되는 부분들을 취합 정리 요약 가감을 하였여  준비했기 때문에 앞으로 자료 출처에 대한 별도의 언급은 하지 않겠습니다.

 

Reference File 참조

정통사암침법의 경맥별 증상론/(舍岩針法) 처방모음 자료 인용 정리 요약 내용

舍巖鍼法 處方構造 君臣佐使 관계에 대한 논문 인용 정리 요약 내용

 

 침구처방의 형성수혈이론( 腧穴理論) 아직 이통위수(以痛爲輸) 초기계단로 구처방은 아직 형성되지 않았다가 이후 黃帝內經 침구처방이 생겨났다. 중에 기재된 400 침구 처방의 주요특점은 경락학설을 이론의거로, 순경취혈(循經取穴 ) 주요한 방법이 되고, 단혈(單穴)처방이 주요내용이라, 일정한 처방배혈의 규칙은 없었으나 이후 출현한 難經, 傷寒論 등의 내용에 침구처방과 유관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鍼灸處方 發展 

침구처방이 생긴 이후, 진대(晉代) 지나금대( 金代) 이르러 누적된 경험이 ..청대(清代) 거치면서 많은 발전이 있었다. 사암침(舍巖鍼法) 처방구조(處方構造) 군신좌사(君臣佐使) 관계에 대한 소고(小考) 25 진대 황보(晉代 皇甫謐) 침구갑을경(鍼灸甲乙經) 양한(兩漢) 이래의 구학 문헌을 역사성있게 총결하는 동시에, 침구학 론을 체계적으로 형성하였고 이후에 침구처방이 대량 출현하기 시작했다. 

구처방을 조성하는 기본 법칙이 가지: 근부해혈(近部 配穴), 원부배혈(遠部配穴) 수증배혈(隨證配穴)

 

중국의 고대침구임증처방분석(古代鍼灸證處方分析)이라는 논문6)에서 구처방을 조성하는 기본 법칙이 가지 있는데,  근부해혈(近部 配穴), 원부배혈(遠部配穴) 수증배혈(隨證配穴)이다.

 

https://www.koreascience.or.kr/article/JAKO200224578160404.pdf

금원시대 침구보사 발전사에 대한 연구 논문

 

배혈법 [配穴法]  정리 요약 내용

· 처방을 구성하는 방법. 병을 치료하기 위하여 효과적인 개의 () 배합하여 처방을 구성하는데 처방을 구성하는 원칙과 방법을 배혈법이라 한다.

 

배혈법은 국소취혈(局所取穴) · 인근취혈(隣近取穴) · 순경취혈(循經取穴) 방법으로 효과적인 혈들을 고루 선택하는 원칙에서 구성한다.

배혈법(고전)

종합배혈법(綜合配穴法)

수모배혈법(兪募配穴法)

원락배혈법(原絡配穴法)

오수배혈법(五兪配穴法)

팔맥배혈법(八脈配穴法)

수증배혈법(隨證配穴法)

영귀팔법(龜八法)

비등팔법(飛騰八法)

자오유주법(子午注法)

상병하취(上病下取)

하병상취(下病上取)

거자법(巨刺法)

무자법(繆刺法)

배혈법(현대)

신경간배혈법

 

PART III 舍巖鍼法 총론

사암침법의 유래

사암 도인(舍岩 道人)께서는
지금으로부터 약 400년전 임진왜란때 허준 선생과 같은 시대에 살았던 분으로, 사명당의 제자중 한 분이라고도 알려져 있으며, 13년간 동굴속에서 참선하며 창안하신 오행침술로써 그 시대에 살았던 많은 사람들의 질병을 신묘하게 치료하셨다고 전해지고 있습니다.

 

사암침법의 形成背景

    舍岩鍼法의 이론적인 배경   내경의 항굉쇠 허칙보지<소문 삼부구후론>

內經 恒轟衰 虛則補之<素問 三部九候論>

 

難經 實者瀉其子<69

   고무의 [침구취영]

高武 [針灸聚英]

에서 언급한

 

   자경보사법과 장세현이 [교정도주난경]

自經補瀉法 張世賢 [校正圖註難經] 에서 상생관계에 따라

他經의 오수혈까지 확장한 것을 들 수 있다.

 

기존의 사암침법연구

기초: 형성배경교정변형에 관한 연구

임상:  병증(病證), 탕증(湯證), 사상(四象), 병증진단(病證診斷), 운용법( 運用法 )

질환에 대한 동물 실험연구

처방구조:  보기모 억기관 (補其母 抑其官) 같은 왕상휴수사( 旺相休囚死) 기반으로 하는 五行 相生相克 관련한 내용

 

사암침법 처방의 構成 構造

처방의 구성은 구성혈(構成穴) 經脈, 五行, , 등이 해당된다.

 처방의 구조는 五行이나 經脈, 五輸穴, 原絡募兪 결합에 의해 다양 하게 나타나는 것을 補其母, 補其侮, 補其子, 補其自, 抑其官, 抑其侮, 瀉其母, 瀉其子, 瀉其自 등의 용어로 규정할 있다

 

 

사암침법 처방구성 원리와 형태

기본적으로는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相生者補 相克者瀉 결합한 다양한 처방형태와 경험방이 주축이 된다.

   舍岩鍼法原理

舍岩鍼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虛實補瀉

예를들어 어떠한 질환이 脾虛에 의한 것이라 辨證이 되면,

脾正格(補法)을 쓰는데五行相生相克의 원리에 따라서,

먼저 자기 자신의  脾經(土經) 火穴(虛則補其母) 大都穴 하고,

자신을 억압하는 讐穴 木穴 隱白穴 한다.

이후에 火經(心經) 火穴(少府穴) 하고木經(肝經) 木穴(大敦穴) 한다.

이것을 요약하면 脾虛脾正格大都 少府 補隱白 大敦 瀉 라고 할 수 있다.

 

 寒熱補瀉

예를 들어 어떠한 질환이 脾寒에 의한 것이라 辨證이 되면熱法을 쓰는데,

먼저 자기 자신의  脾經 火穴(寒證이므로) 大都穴 하고,

하게 하는 水穴 陰陵泉 한다

 

이후에 火經(心經) 火穴(少府穴) 하고, 水經(腎經) 水穴(陰谷) 한다.

 

이것을 요약하면 脾寒熱法大都 少府 補陰陵泉 陰谷 瀉라고 할 수 있다.

 

舍巖處方 분석

正格(補其母 抑其官) 형태를 126개의 처방을 분석해 결과, 정격(補其母 抑其 ) 119 였으며, 정격의 변형 補其母 抑其 補其自 5, 補其母 抑其官 抑其侮 1개였다.   자기 경락만을 사용하여 正格 구조에 맞게 사용된 것은 3개였으며, 正格 구조에 따른 3개의 經絡 용한 처방은 86, 경락은 다르나 五行 일치하는 처방은 31, 경락도 다르고 五行 다르지만 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원리에 맞는 형태의 처방이 6개로 분류되었다.  

사암침법의 처방체계와 중국침구 발전내용의 승계

명대의 고무는 침구취영明代 高武 鍼灸聚英13)에서 十二經絡 是動病, 所生病 함께 經絡 自經 補瀉法十二 시간과 연관시켜, 自經 에는 自經 氣血 순환이 왕성하여 하기 때문에 自經 子穴 하고, 自經 注時 다음 에는 自經 순환이 하여 하기 때문에 自經 母穴 한다 하였 .  

결론

1. 사암침법은 중국의 전통적인 침구발전 내용을 계승 발전시킨 침구법이다.

2. 君臣佐使 鍼藥同源 思想 기반 하였다.

3. 사암침구처방의 구조는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으 , 君臣佐使 개념이 반영되어 있다.

4. 사암침법에서 君臣佐使 하는 他經 天符穴 되고, 하는 他經 天符穴 , 自經 하고 하는 佐使 引經穴 되는 것으로 있다.

 

정통사암침법의 경맥별 증상론

 사암침법관련 서적

사암도인 침구요결

의의와 평가

『사암도인침구요결』이 출판된 이후에 사암침법에 대한 여러 가지 책들이 나오게 되었는데 종류는 『사암침구정전(舍巖鍼灸正傳), 『사암도인침구요결(舍巖道人鍼灸要訣), 『사암침법의 체계적 연구』, 『음양오행침구총론(陰陽五行鍼灸總論), 『사암침법 임상강좌』, 『교감사암도인침법(校勘舍巖道人鍼法), 『교감도해사암도인침법(校勘圖解舍巖道人鍼法) 등이 있다.

 

사암결의 신비와 보사법 (舍岩訣의 神秘와 그의 靈效)

舍岩訣의 神秘와 그의 靈效(新增)

 

上述譯者序言에서 略述한 바와 같이 本書의 原著者 舍岩道人은

그이 尊姓大名을 밝힌바 없고 그저 道號를 舍岩이라하였을 뿐인데

石窟 속에서 得度한 까닭이라하며 俗姓의 發表를 忌하는 것이

古來 僧侶의 本質이고보니 追考할 必要性을 느끼지 않는다.

 

舍岩은  手法補瀉, 呼吸補瀉, 迎隨補瀉를 專用하였으므로 此를 抄出하여 둔다.

 

사암침법의 특징

1. 사암침법은 12경락의 경락적인 취상과 경락의 성질을

환자의 개체적 특이성에 맞게 음양관에 입각하여 시술하는 침법이다.

병의 근본적인 원인을 추적하여 치료를 도모하고 독특한

이론 체계에 따라 시술되므로 이론적 근거가 명확하다.

 

2. 사암침법은 유심적인 면을 중시한 독창적인 가설체계를 통하여

유심적 불균형까지도 치유한다. 이러한 사암도인 침술원리는

육체만을 대상으로 하는 단순한 침술법이 아니라

각자의 내면에 있는 정신세계에 일침을 가하는 마음의 침술이다.

 

'審七情之浮沈 (심칠정지부침)하라!' 사암도인의 말씀은

육체와 마음을 분리하여 보지 않고 하나로 보는

사암침법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써 마음의 병은

육체의 질병으로 나타나며 육체의 질병은 결국 분리된

내면의 마음에서 출발한다는 의학의 새로운 장을 제시하고 있다.

 

3. 사암침법은 일반침법과는 달리 사지말단처, 팔꿈치,

무릎관절 이하의 오수혈을 이용하여 치료하므로 자극이 강한 편이나

안전하면서도 효과는 탁월한 것을 특징으로 있다.

장기손상 시술상의 위험이 전혀 없다.

 

4. 수십개에서 수백개의 경혈에 자침하는 일반 침법과는 달리

보통 8개미만의 필요하고 치료효과가 뛰어난 경혈만을 선택하므로

시술이 간편하고, 자극이 강하여 새로 얻은 질병은 물론

오래된 고질병에도 치료효과가 빠르고 탁월하게 나타난다.

 

5. 환자의 심리 신체 상태에 따라 다양하게

   응용되므로 적용범위가 넓다.

 

6. 인체를 전일(全一:완전한 모양. 또는,

   통일성이 있는 모양)개념으로 파악하여 시술한다.

 

  오수혈을 이용한 장부조절법 이란?

오수혈은 소속 장부의 경선상에 있는 혈위중 신체 말절부위(상지는 팔꿈치 이하, 하지는 무릎 이하) 있는 혈위를 오행의 상생 상극 관계에 근거하여 배속하였으며 순서는 말절부에서 무릎과 팔꿈치 방향으로 음경은 ->->->-> 양경은 ->->->->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는 동양 사상에서 어머니는 자식에게 끊임없이 베풀고 자식은 어머니로부터 끊임없이 받아들인다는 사고에 근거하여 해당 경선상의 모혈은 보하는 작용을 하며 허증을 치료하고 자혈은 사하는 작용을 하여 싫증을 치료하는 작용이 있다는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허즉보기모 실즉사기자' 치료 원칙을 정하였으며 장부조정술에 탁월한 교과가 있음을 확인되었다.

 

  장부조절법의 적용방법

자장부에는 오장육부로 나누는데 이중 자신의 내장의 상태가 실해서 생긴 병인지 허해서 생긴 병인지를 판단해야 한다. 예를 들어 간의 경우 화병에 의하여 열체가 발생하여 가슴이 답답한 경우 간의 화를 없애기 위해서 사하는 요법을 취한다.

다음의 해당장부에 해당하는 혈위를 손끝으로 자극한다.

 

PART IV 개인임상 경험

Background Info: , 은인, 절실감, 주류사회 진출, 영어, 사암침, 동씨침

 

사암침을 시작하게된 동기

2008 임상 4년의 한의사의  사암침 치료 참관

 

첫임상 사례

60 여성 주인 아주머니 친구분

임상사례

환자의 선물

Referral 환자 5:  환자 따님, 아버님, 환자 남편, 환자 이웃(환자이웃, 환자 아들)

미용침으로 연결하여 치료

근골격계 치료가 잘되면 내과질환, 비만치료, 미용치료까지 연결시켜서 치료한다.

Patient Files

환자 챠트의 중요성

 

1 Kaiser Patient Referral

2 Western Diagnosis and Exam Result

3 Patient System Review

4 Patient Initial Health Status

5 Patient OSWESTRY DIABLITY INDEX 2.0

6 Acupuncture Informed Consent Form

7 Patient Sign In She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