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십이 자침법

반응형

십이 자침법

십이 자침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영추(靈樞)》관침에 기록된 자침법으로, 십이경의 병증에 대응하는 12가지 자침법을 말합니다.

십이자침법의 방법은 특정 상태와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맞춤화되었습니다.

이러한 방법에는 다양한 침법 기술이 포함되며 음양 원리, 경락 치료되는 질병의 특성에 따라 특정 용도로 사용됩니다.

십이자침법의 다양한 방법과 기법은 각각의 병증과 증상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됩니다.

십이 자침법의 종류 다음과 같습니다.

 

우자법

우자법은 모혈과 배수혈에 자침하는 것으로 압통점을 찾아서 압통점에  자침하는 방법입니다

앞과 뒤는 음과 양으로도 표현되어 음양자(阴阳刺)라고도 합니다

 

한의학에서 비증은 각종 영위기혈 비저불통의 병증- 오장육부비, 후비를 말합니다

좁은 의미의 비증은 사기가 영위기혈을 비저하여 활동제한이 생긴 병증을 말합니다

증후특징에 따른 분류: 행비, 통비, 착비등이 있습니다

이는 후세에 통용되는 분류방법 입니다

 

병변부위에 따른 분류는 오체비(体痹), 오장비(脏痹),육부비( 六腑) 있습니다

우자법은 오장비중  류마티스성심장병의 일종과 유사한 심비()를 치료할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

보자법

보자법은 환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부위에 침을 놓는 방법입니다

보자법은 통증이 이곳 저곳 옮기면서 아픈  유주성游走性  통증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회자법

회자법은 방자(傍刺)즉 환부에 곧바로 찌르고 그 옆에도 각각 한대씩 찌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자침후 환자에게 움직이게 하여 경락의 기운을 소통시키고 근육의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구급(拘急) 팔다리의 근육에 경련이 일어 당기면서 뻣뻣해 펴지 못하는 증으로

대개 음혈부족(陰血不足), 풍한습열(風寒濕熱)의 침습과 어혈유체(瘀血留滯) 등으로 발생하는

비증 통증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제자법

 제자법은 한 혈자리에 여러침을 놓는 다향자법(多向刺)입니다

제자법은 세 바늘의  집합이라 하여 세자법이라고도 합니다

회자법과 반대로 정중앙에 먼저 침을 놓고, 양 옆에 2개의 침을 나란히 찌르는 방법입니다

제자법은  병변의 범위가 비교적 작고 부위가 깊은 비통을 치료할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양자법

양자법은 정중앙에 먼저 침을 찌른 후 상하좌우에 각각 한 바늘씩 얕게 찌르는 방법입니다

병변의 법위가 비교적 넓고 부위가 얕은 비통을 치료할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매화침법은 양자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직자법

직자법은 먼저 자침부위의  피부를 손으로 집은 후 침을 피하 아래로 찌르는 방법입니다

피부침이나 횡침은 직자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직자법은 부위가 얕은 낙맥의  병을 치료할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수자법

수자법은 직자법과 반대로  깊은 곳에 수직으로 찌르고 득기후  천천히 침을 빼내는 방법입니다

수자법은 열증이 있을때 음에서 양을 끌어내어 열증을 소실 시키는 방법을 이용합니다

기가 성하고 열증이 있을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단자법

단자법은 침을 천천히, 살짝 흔들며  깊게 찔러 뼈에 가까운 곳에서는 침을 위아래로 살짝 돌리는 방법입니다

단자법은 비증()의 하나로 풍한습사(風寒濕邪)가 뼈에서 엉키거나 골수가 허한 틈을 타고 사기(邪氣)가 침입하여 발생하는 병증이며 뼈마디가 아프고, 팔다리가 처지고 무거워 들기조차 어렵고, 뻣뻣하며, 시린 느낌이 있는 병증으로서 신비()라고 하는 골비와 통증이 심부에 있을때 사용할수 있습니다

 

부자법

얕게 찌르고 깊게 자침하는 않는 방법입니다

피내침법은 부자법에서 유래되었습니다

부차법은 근육의 긴장과 한증에 사용할수있습니다

 

 음자법

음자법은 거자법과 달리 신체의  좌우 양측의 혈자리를 같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방자법

방자법은 먼저 직자로 자참후 다시 근방에서 비슴듬히 자침하는 방법입니다

방자법은 통증이 현저하고 한곳에 고정되어 있는 오래된 비증 통증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찬자법

찬자법은 자침후 유침하는 대신에 얕게 찌르고 빠르게 침을 빼내는 방법입니다

찬자법은  피부가 연쇄상 구균에 감염되어 피하조직과 피부에 병변이 나타나는 급성 접촉성 전염 질환인 단독이나 종기등 피부질환에 사용할수 있습니다

 

마무리 하며

십이 자침법은 자침법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병증을 치료할 있습니다.

우자법은 심비증, 보자법은 유주성 통증, 회자법은 근육의 구급비통, 제자법은 깊은 부위의 비통, 양자법은 얕은 부위의 넓은 면적의 비증, 직자법은 낙맥의 , 수자법은 기가 성한 열증, 단자법은 골비, 부자법은 근육의 한기와 긴장, 음자법은 한기에 의한 경련, 방자법은 오래된 비증, 찬자법은 종기, 단독 등을 치료하는 효과적입니다.

십이 자침법은 자침의 기본 원리와 이론을 바탕으로 개발된 자침법으로, 오늘날에도 다양한 병증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