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씨침 사암침 어혈방 정리
임상을 하시다 보면 환자가 여러가지 복잡한 증상을 가지고 있어서 진단조차도 싶지 않을때가 있고, 또한 환자가 특정 시간에 몰려서 바빠서 충분한 진단시간을 갖기 어려울때가 있습니다. 그러한 경우 ‘구병, 노병, 괴병에는 반드시 어혈이 있다’는 말을 기억하고 요긴하길 쓸수 있는것중 하나가 어혈방이라고 생각해서 어헐방에 대해 소개해드림니다.
[사암침 어혈방]
太白 太淵 [+] 曲池 外關[-]인데 다 놓을 필요 없다. 太白이 50%이고 曲池가 그 다음이다. 두 개만 놓아도 된다.
※ 어혈방도 병증에 따라서 太淵[+]가 좋은 수가 있다.
※ 瘀血 : 通卽不痛이니 通케함. 병이 잘 치료 안될 때 瘀血病으로 보이면 먼저 처치해주고 다른 처치를 한다. 사전조치역할인 경우 많다.
어혈방에서 곡지 사는 간 근육쪽의 병이고 외관 사는 삼초 뼈쪽의 병이다.
곡지 대장경의 토혈 . 치습기능.
곡지 사는 대장경의 치습기능을 낮춰서 수액대사를 증진시켜서 어혈을 녹여 풀어줄 것이다.
외관 삼초경. 삼초경의 수액을 말려주는 화의 기능.
외관 사는 화를 낮춰서 삼초경의 수액양을 늘려서 수액대사를 증진시켜서 어혈을 녹여 풀어줄 것이다.
소장정격, 비정격, 담정격, 폐정격 사용가능
[동씨침 어혈방]
구병, 노병, 괴병에는 반드시 어혈이 있다. 동씨침은 침과 방혈이다.
혈위에 구애받지 말고 청근을 찾아서 방혈하라. 그 근처에서 청근을 찾아서 방혈
풍융 찾을 때 : 경골 2등분 해서 경골쪽에 바짝 붙여서 거기서 3횡지를 나가면 딱 풍융!
정확한 진단에 의해, 정확한 취혈로 침이 딱 들어가면 일발즉중
* 남자 40세 미국에서 지하에서 생활한 사람, 에어콘쐬면서 일, 양 슬하가 자흑색, 수배, 수 지단이 자흑색으로 너무나 차서 악수를 안할려고 한다. 추운 곳에 가면 너무나 차다. 입 술도 자흑색이다...어혈방, 한궐침, 지단자락 다 무효
* 어혈약을 먹을 때는 발한을 해야 통기가 된다. 마찬가지로 비익 옥화, 사암어혈방, 족해등을 놓을 때는 침놓기 전후로 더운 물을 한잔씩 먹이는 것이 좋을 것이다. 또 감기 처방도 마찬가지로 더운 물을 치료 전후로 한잔 마시면 좋다.
자발통은 없는데 눌러서 아프다면 어혈이다.
자발통은 치료되었는데 누르면 아프다든지, 밤에 더 아픈 경우 어혈 !
→ 옥화 ★ / 족해
『내경』 어혈이 있으면 연곡을 방혈하라~! / 어혈은 肝에 속하므로 대돈을 써라~!
뼈를 눌러서 아프다면 옥화보다 임읍★
祛瘀 영골 대백 〔김동식샘 曰〕 옥화
영골 : (10) 일체의 오래된 병(久病), 괴이한 병(怪病)
胡門』p.80
영골 대백은 氣病에 쓴다. 그러나 또한 瘀血에 쓴다. 중요함
風屬 기체나 어혈의 병에 모두 기효하다. 蓋人體血痰循經而行還流不已. 周而復治 濡養全身
若人氣滯而氣虛則將導致血瘀血滯 이른바 기가 응결하면 혈도 역시 응결하게 된다.! 그러므로 오래된 병, 괴이한 병, 중병 통증은 반드시 어혈을 지니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어혈이 상초에 있으면 폐질환과 胸痺가 생기고, 어혈이 중초에 있으면 적취(癥)가 생기거나 뱃속 병 (혹은 기생충병(瘕))이 생기고, 어혈이 하초에 있으면 아랫배에 통증이 생긴다. 여성들의 질병.....어혈이 경락에 생기면 관절의 痺痛이 생긴다. 풍습의 모든 병과 반신불수....., 어혈이 안에 쌓이면 성정(性情)이 변화되고 신경(神經)의 제 질병이 생긴다.... 영골 대백을 사용함으로써 기를 소통시키고 능히 적취 등을 흩어뜨릴 수 있은 즉, 오래된 병이나 괴이한 병이라 하여 어찌 염려를 하겠는가?
玉火★★
瘀血과 관련 (顴 : 광대뼈 권,관)
: 心經之坐骨神經痛, 肩臂痛, 四肢痛, 膝蓋痛, 顴骨痛, 顴骨痛, 背痛, 脊椎
[양유걸]
玉火 - 活血去瘀 止痛 작용. 어떤 氣滯 血瘀痛이라도 안 낫는 병이 없다.
(1) 옥화 + 중백 완순1 → 요통 좌골신경통
옥화 + 정척 → 背脊痛
″ + 중지 중선 → 背痛
″ + 토수 → 슬통
옥화 + 사지 → 사지통
옥화 + 견응(=養老穴) or 신관 → 견비통
⊙ 금림 방혈金林放血 : 瘀血, 血虛의 개념. 血濁의 경우(久病者, 여기저기서 치료해도 안 나았던 자, 오래된 腰脚痛에 탁월하다. 단 委中放血을 같이 해라)
※ 금림혈 金林穴 : 金神穴(흉추3-4기준 옆으로 6寸) - 木原穴- 木太穴 상하로 세穴.
※ 三金放血 : 膝部이상, 沖 충소放血(S2-S4 사이 압통점을 찿아서 방혈) : 後頭痛.
어혈방에 대해 저의 개인임상을 말씀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카이로프랙틱 닥터와 같이 임상할때 그날 환자가 몰려서 바쁜 와중에 매니저가 아버님을 모시고 왔는데 꽤 오랫동안 심한 통증으로 거동하기 힘드시고 누워계시기만 하신다고 합니다. 바빠서 진단할 시긴도 없고 환자 상태가 복잡해서 어디서 부터 시작해야될지 전혀 감도 오지않아 자신도 없고 환자상태도 심각해 보여서 걱정되어 양방에 그냥 보내고 싶었지만 매니저가 믿고 아버님을 모시고 온 상태라 일단 치료보다는 안전이 우선이라는 생각으로 환자가 노인이고 마른점을 감안하고 ‘구병, 노병, 괴병에는 반드시 어혈이 있다’말이 생각나서 별 기대없이 그냥 어혈방을 자침했는데 놀라게도 환자가 통증이 사라졌습니다. 그후 매니저가 몇번 오시고 와서 같은 치료를 몇번한후 증상이 좋아졌습니다. 어혈방의 효과를 다시한번 느낄수 있었던 좋은 경험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