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오수혈과 오수혈표

반응형

오수혈과 오수혈표

사암침법에서 사용하는 오수혈과 오행혈과의 연결 속성에 대해 설명해 드리고 오수혈표을 이해하여 임상에서 활용하실수 있도록 소개해 드림니다

 

오수혈의 정의

오수혈(五穴) 12경맥에 각각 5개씩 총 60개의 혈자리로 구성된, 오행(五行)의 속성을 가지는 5개의 혈을 의미합니다.

이 혈자리는 손발의 끝에서 팔꿈치 또는 무릎의 아래쪽에 위치합니다.

 

오수혈 정(), (), (), (), ()혈의 의미와 활용

오수혈은 정(), (), (), (), ()혈로 나뉘며, 각각의 혈은 기의 흐름을 샘에서 물이 솟아나와 흘러가면서 변화하는 형태에 비유됩니다.

(1) () - 기혈이 처음 샘물처럼 솟는 곳입니다. 이 혈은 명치가 그득할 때 사용되며, 구급 또는 신지병(神志病)에 활용됩니다.

(2) () - 기혈이 실개천 또는 도랑처럼 조금씩 모여들어 흐르는 곳입니다. 이 혈은 몸에 열이 날 때 또는 심화병(心火病)에 사용됩니다.

(3) () - 기혈이 점차 크게 흘러가는 곳입니다. 이 혈은 몸이 무겁고 뼈마디가 아플 때나 신경통에 사용됩니다.

(4) () - 기혈이 강물처럼 왕성하게 통과하는 곳입니다. 이 혈은 기침, 감기, 인후병(咽喉病) 및 호흡기계통의 질병에 응용됩니다.

(5) () - 강물이 바다로 흘러들어가는 것처럼 기혈이 깊게 흘러 오장육부로 들어가는 곳입니다. 이 혈은 기()가 치밀어 오르거나, 구토 또는 설사를 할 때 사용됩니다.

 

오수혈과 오행의 속성및 오수혈의 의미와 활용

오수혈은 한의학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여겨지며, 오행의 상생과 상극의 관계를 응용하여 치료하는 오행혈이라는 치료법에 활용됩니다.

경락은 오행에 배당되어 각 경락에는 오행의 성질을 가진 다섯 개의 오행혈이 존재하며, 이를 오행혈(五行穴)이라고 합니다.

오수혈은 오행(五行)의 속성과도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수혈과 오행혈은 동일한 위치에 분포하며, 손발끝에서 음경은 목화토금수, 양경은 금수목화토의 순서로 배열됩니다.

음경(陰經)에 해당하는 정(), (), (), (), ()혈은 각각 목화토금수의 오행과 대응되며, 양경(陽經)에 해당하는 혈들은 금수목화토의 오행과 대응됩니다.

 

  오수혈표

오행혈
음경陰經
양경陽經
주치周治 구급 발열 관절통 기침감기 만성병
수태음폐경 小商소상 魚際어제 太淵태연 經渠경거 尺澤척택
수양명대장경 商陽상양 二間이간 三間삼간 陽谿양계 曲池곡지
족양명위경 여태 內庭내정 陷谷함곡 解谿해계 三里삼리
족태음비경 隱白은백 大都대도 太白태백 商丘상구 陰陵泉음릉천
수소음심경 소충 少府소부 神門신문 영도 少海소해
수태양소장경 少澤소택 前谷전곡 後谿후계 陽谷양곡 小海소해
족태양방광경 至陰지음 通谷통곡 束骨속골 崑崙곤륜 委中위중
족소음신경 湧泉용천 然谷연곡 太谿태계 복류 陰谷음곡
수궐음심포경 中衝중충 노궁 太陵태릉 間使간사 曲澤곡택
수소양삼초경 關衝관충 液門액문 中渚중저 支溝지구 天井천정
족소양담경 竅陰규음 俠谿협계 임읍 陽輔양보 陽陵泉양릉천
족궐음간경 太敦태돈 行間행간 太衝태충 中封중봉 曲泉곡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