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암침 동씨침 임상공부 12주 3월 25일 목요일
감사
미국 한의학의 발전을 위해 항상 수고하시는 아마협회 관련 모든분들과 민족 고유의 침법인 사암침법을 사랑하시는 모든 원장님들과 함께 공부할수 있어서 감사드림니다
원장님들 질문과 답변 소개
000 원장님 질문
안녕하세요~ 원장님~ ^^
환자가 스승이라고 전에 말씀 하셨던 것 처럼
정말 이 환자의 두통을 잘 케어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서
엄청 집중적으로 공부를 해보고 생각을 많이 해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
제가 또 궁금한 내용이있어 질문을 드릴려구요~~ 원장님~~
이번에는 저의 팔 통증 케이스 인데요~ 제가 2년전 정도 전부터 무거운 물품들을 많이 드는일이
생겨서 테니스엘보 부위랑 골프엘보 부위가 양쪽팔이 번갈아 가며 통증이 생기다가
좋아지곤 하였는데 최근에는 많이 심해져서 엘보 부근뿐만 아니라 손목 관절과 손가락까지
통증이 심할 때가 있고 팔을 편채로 물건을 손가락으로 집을 때면 찌릿한 심한 통증이 발생 합니다.
특히 잠을 자고 일어나 팔을 펼때 팔이 굳은 느낌으로 통증이 더 심할 때도 있습니다.
좋은 기회다 생각을 하여 여러가지 침법 치료 자료들을 찾아보며 제 몸에 자침을 하였었는데요~
현재 총통침법의 경락 유주를 적용하여 대장경, 삼초경, 소장경의 화혈 및 수혈을 사용을 해봤었고
체침의 산침법과 가열화침으로 팔 관절 인대 부근을 계속해서 시행 해 보았는데
아직까지는 그렇게 유효한 느낌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동씨침의 경우는 같은 테니스 엘보라고 하더라고 여러가지 혈자리로 된 치험례가 너무 많아
영골 대백 신관 쪽에만 자침을 해보고 건력,중력이라는 자리는 자료를 아무리 찾아봐도
혈자리 위치가 어디인지를 찾지를 못하여 3가지 혈자리로는 유효한 느낌을 받지 못 했습니다.
사아침의 경우 자료찾기가 쉽지가 않은데 원장님께서는 테니스, 골프엘보 환자의 경우
어떤식의 치료로 접근 하시는지 궁금해서 여쭈어 보구요~~
지난주 공부 자료도 보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000 원장님 답변
사암침법 주관절통 치료 처방 정리
I 근육학적 관점
II 동씨침법 부위별 치료
III 총통침법
IV 평형침법
V 사암침법
1근육과 주통
1)테니스엘보
극상근,상완이두근, 완근, 상완삼두근, 회외근, 주근, 상완요골근, 장요측수근신근, 지신근
회외근은 상완외과통(Tennis Elbow)을 가장 흔하게 일으키는 근육이다. 외측상과를 두드리면 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회외근은 뼈에 가장 가까이 붙어 있으므로 살짝만 두드려도 아프다.
2)골프엘보
대흉근, 광배근, 삼두근 단두 내측두
3)새끼손가락 근육
대흉근, 광배근, 소흉근, 상후거근, 전거근(4, 5지)
4, 5지 손가락; 사각근 신경 압박시cf) 사각근 근육 자체는 1, 2지
II동씨침법 부위별 치료
기본적으로 어깨 관절에 작용하는 것은 상비에도 작용하고, 주관절에 작용하는 것은
주관절 이하 완관절 전까지 쓰이고, 완관절에 쓰이는 것은 손가락 끝까지 다
작용
견관절 치료혈 → 어깨에서 팔아래까지 다치료됨.
주관절 치료혈 → 팔꿈치아래까지 다 치료됨.
완관절 치료혈 → 腕이하 손가락까지 다 치료됨.
1.영골 靈骨 : 주관절부위 그 자체가 아픈 경우.
2.사화중 四花中 :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胃經, 患側&健側 모두고려.
소화안되고 가슴답답하고 두근거리는 느낌있을 때. 팔꿈치에서 前腕쪽으로 아플때.
3.인종 人宗 : 팔꿈치에서 上臂쪽으로 아플 때.
4.견응 肩凝: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膽經.
5.풍시 風市 :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膽經.
6.삼중 三重 : 팔꿈치에서 그 아래로 아플 때, 膽經.
7.지구 支溝[-] : 주關節에서 그아래로 아플 때. 3, 4, 5지까지 아플 경우
8.족규음 竅陰 : 전신의 일점통 全身의 一點痛.
9.곡지 척택 曲池, 尺澤쪽의 放血(健側)
10. 팔꿈치에서 손바닥으로 저릴 경우; 手三里 透 外關(患側)
단순 과로 등으로 인한 경우 대증 치료방
11.팔꿈치에서 上臂 쪽으로 아플 때; 人宗
13.좌측 주통에 우측의 풍시(족소양담경 : 풍습성질환에 유효)
좌측의 합곡(수양명위경 : 인경의 의미일 듯)
14.경험방: 건측 풍시, 환측 영골
III 총통침법
[양릉천,절골] [양릉천,대저] [양릉천,태충] [양릉천,족삼리]
주로 근육이나 관절(주된 타겟을 말하자면 근건, 인대 등)을 많이 사용해서 발생한
노권상쪽에 병인에 따라 가해주는 혈들의 조합으로 [양릉천, 태충]
하지쪽뿐만이 아니라 상지쪽(주통, 견비통)에도 효과 좋음
IV평형침법
ꡓ肘痛穴(주통혈)
○취혈정위:슬관절의 외측(독비혈)의 우묵한 곳에서 취한다.
○취혈원칙:교차취혈한다.
○시술법:한번에 원하는 부위에 도달할 수 있도록 침자를 실시한다.제삽을 하지 않고 일정한 깊이에 도달하면 침을 발침할 수 있다.
○效能:消炎止痛,活血化淤,通經活絡,理氣止痛。
○주치:주관절연부조직손상,상완골외상과염,상완골내상과염,원인불명주관절동통,담마진,족관절염좌.
V 사암침법
해당 經絡의 火穴을 瀉하거나 正格, 勝格
1 통증은 火穴(-)
2 수족 동경의 화혈 이용
주두 음소해(手少陰) 양소해(手太陽)부위
→ 수소음경의 통증 연곡(-)
수태양경의 통증 곤륜(-)
3. 경락의 형(榮)혈 兪(수)혈
4 경락의 정격 승격
대장정격,대장승격
大腸正格 曲池 부위 하단에서 통증 호소.
통증이 심할 경우는 승격 사용(양계 보; 통곡, 이간 사) → 火補水瀉로
溫通經絡시킴
4 어혈방
자발통은 없는데 눌러서 아프다면 어혈→ ★ 태백 태연 보, 곡지 (혹 + 외관) 사
통증이 극심하면 뼈에 이상이 있는 것
5 육기
脾經의 商丘
⇒ 曲池는 金氣안에 土가 들어있는 형국인데(手陽明[燥金]大腸[金]經의 土혈) 이 형국을 수학에서의 역함수처럼 뒤집어보면 土안에 金이 들어있는 형국
⇒ 足太陰[濕土]脾[土]經의 金穴인 ‘商丘’
6 혈성 이용(송혈 수혈)
膽經의 臨泣(木)을 취함: 送穴
⇒ 三間을 受穴로 취하면 木穴을 취하여 행기시키는 의미
⇒ 三間은 大白에 해당하여 靈骨, 大白 동시 취혈 가능
⇒ 대장경상 나타나는 모든 통증성 질환에 통기의 의미로서 적용 가능
7 장부 생리병리
1)담정격
모든 관절에 담정격, 담승격
주관절이 아플때에도 담정격
담이 관절의 위치를 정해주는 작용도 하기 때문(諸節屬膽)
2)간정격 간승격
능형근 상부(고황膏心兪 肺兪)
팔꿈치는 心肺의 邪氣가 모임
원장님들 질문에 대한 답변 추가 보충 설명
병이 아니라, 사람을 먼저 보는 의학을 위하여
위의 질문의 사례처럼 저역시도 마찬가지로 학교때 공부하면서 자연스럽게 생긴 선입관과 고정관념을 지금까지도 가지고 있어서 어떤 질환에는 어떤 처방이 있나 제일 먼저 생각하게 됨니다.
이런 선입관과 고정관점에서 벗어나기 위해 지금까지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저와 같이 선입관과 고정관념에서 벗어날수 있도록 도와주는 좋은 글이 있어서 소개해드림니다.
혹시라도 오해의 소지가 있을까 조심스러워서 최대한 원래의 취지를 살리면서 일부 내용은 제가 요약,변경, 삭제하였음을 알려드림니다.
침의학 전반에 대해 고찰내용을 정리 요약한 글입니다
현재 한의과 대학에서 정규과목으로 가르쳐지고 있고 대다수 한의사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침법은 한의학 근본이론, 즉 음양론, 오행론, 장부론 등에 충실하게 부합해야 한다
한의학이란 이 이론들의 바탕 위에 설립된 것이므로 질병을 해석하고 진단하며 치료원칙을 세우는데 있어 사용되는 기본 사유의 틀은 마땅히 한의학적이어야 한다.
침의학은 수천 년의 세월이 흐르면서 거대한 역대 수많은 의가(醫家)들의 다양한 이론과 경험들이 축적되어 발전해왔다.
황제내경 시대에 기본이론이 확립된 침술의학은 난경에 이르러 더욱 발전된 형태를 취하게 되는데 침 이론의 근본은 오행(五行)적 사고와 보사(補瀉)를 통한 장부 조절이 주된 원리였다.
난경(難經)을 보면 오행(五行)과 보사(補瀉)가 침 이론의 핵심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침의학이 근세에 서양세계에 알려지면서 유감스럽게도 오행과 보사에 중점을 둔 전통 침의학 이론은 본류(本流)에서 살아지고 대신 특정 치료효과 중심의 경혈침구 이론이 침의 원류(原流)로 대치되고 말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소위 증치(證治)적 사고(思考)가 일반화 돼 있는 서양세계에 침의학이 소개되고 전파되는 과정에서 저들의 사고(思考)와 기준에 맞추고 적응되어 소위 서양의학적 잣대로 체계화된 것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가 침을 공부할 때 인체 12경락이 모두 오장육부(五臟六腑)에 귀속되고 오수혈(五輸穴)같은 특정 혈들이 오행(五行)의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배우는 것은 그 경혈, 경락들이 장부(臟腑)조절기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침구학이란 원리적으로 경혈과 경락을 이용한 보사의 방법으로 장부 허실을 조절하여 치료하는 체계임을 의미한다.
음양, 오행, 장부론이 중심이 된 전통 침의학 이론이 중국에서가 아닌 한반도에서 조선인 사암도인(舍岩道人)에 의해 그 맥이 계승 발전된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다.
조선시대 중기(中期)에 생존했던 사암도인은 난경(難經) 육십구난(六拾九難)에 나오는 “허즉보기모(虛則補其母), 실즉사기자(實則瀉其子)의 원칙에 각각 관(官)을 사하고 보하는 원리를 덧 붙여 장부의 허실에 따른 침구 보사를 상생관계 뿐 만 아니라 상극관계까지 결합시키고, 여기에다 자경(自經)과 타경(他經)보사를 결부시킨 독창적 침법을 창안했다.
그는 이 침법으로 수많은 난치(難治)환자들을 치료했을 뿐 아니라 많은 생명을 건져 냈다. 사암침이 침법으로서 발군의 효능을 나타내는 것은 이 침법 원리가 전통 한의학 원리에 철저히 의거해 뛰어난 침법으로서의 효능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
신장의 중요성
사암침법 임상활용도 1위 (한국)
묻지마 비정격
간정격 승격(일침 요법)
폐정격(윤동원 선생님)
1 개인 경험 (미국)
신정격
소양체질(비대신소)
미국인 양인 많음
신승격
소음체질(신대비소)
임상에서 처음 치료환자 : 60대 신허환자
동기부여에서 소개해 드린 환자 : 70대 신허 환자 양인
2 고령화 시대
노화는 그냥 “신허다!”
오래 살게 되면서 신허가 되는 시간이 길어짐
간 - 심 - 비 - 폐 - 신의 순서로 장부의 기능이 쇠퇴
오래 살수록 더 신허해지는 것
앞으로의 시대는 ‘신허’ 곧 ‘신장기운의 저하’가 한의학 내부에서 통용되는 생소한 용어만이 되어서는 안됨
신음허는 대체로 젊은층
신양허는 대체로 노년층
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인체 전반의 기능저하와 면역 기능의 약화로 이어짐
3 만성 난치성 질환
신허腎虛는 내분비계, 면역계 전반의 기능 저하로 일어나는 증상들의 합, 증후군syndrome
여러 만성난치성질환들의 치료에 신허를 다스리는 방법이 효율적인 치료법
신허는 반드시 서양의학에서 말하는 ‘질병’은 아닐 때도 있음
신허는 모든 질병의 출발이 되는 근본
신허는 비뇨생식기계통의 증상뿐만 아니라, 성장, 발육에 관련된 호르몬 분비 등도 신의 작용
신허는 아이들의 성장부진, 여성들의 갱년기증상, 생리통 등을 포함
'건강’의 근본 원인
신장이 안좋다고 하지만, 병원 검사에서 이상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
그 이유는 신장의 '기운'에 이상이 생긴 탓이기 때문
신장의 기운은 인체의 생명력(VITAL ENERGY)
다음은 사암침법에 대해 지금까지 공부해 오던 방식이고 같은 방식으로 자료를 준비 했습니다
I사암침법 족소음 신경
족소음 신경이란?
1 오행 육기
2 족소음 신경의 특징
3 신장의 생리
4 신장의 병리
II 족소음 신경 진단법
족소음 신경 진단법?
1망진
2복진
1)김관우 원장님
2)총통침법 복진
3 유주
4 장상학적 생리병리
5 오행상 타 장부와의 관계
1)상합
2)상통
3)폐 방광
4)폐비
5)폐신
6 경맥 증상
1) 정통 사암침법 족소음 신경 경맥별 증상
2 )월오 사암침법 신장관련 증상
3 )총통침법 신장 신장관련 증상
7 체질적 관점
III 족소음 신경 치료방법
족소음 신경 관련 각종 병증 치료 방법?
1 사암침법 족소음 신정격
2 사암침법 족소음 신승격
IV 족소음 신경 주요 치료 병증 임상 사례
1 허로
2 신허 요통과 족소음 신경 유주
V 족소음 신경 임상사례
V 족소음 신경 관련 논문
사암참법의 임상 활용에 대해 고민하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자료를 준비하였습니다.
사암침법 응용 방법 6원칙
1 경락의 유주 선상의 병들을 치료
2경락의 五運, 六氣, 취상에 의한 치료
3 장부간의 관계(상합 상통)五行의 특성을 이용 해당 경락에 속하는 臟腑의 전형적인 병들을 치료
4 正格, 勝格등을 구성하는 穴자리들의 특성에 의한 치료
5 경험에서 알아낸 효과들에 사용
6 복진, 설진, 문진,맥진, 환자 설문지,
사암침법을 임상에서 잘 활용할수 있도록 사암침법 응용 방법 6원칙에 근거하여 자료를 준비하였습니다.
PART 1경락의 유주 선상의 병들을 치료
1신장 경락과 경근, 경별의 유주 노선과 병증
2 족소음신경 흐름 유주와 병증
3 신장경락과 심층전면근막경선DFL과의 관계
4 족소음 신경 경근(Tendon muscle meridian)
5 큰허리근(대요근, psoas major)
6 요근과 불안, 긴장의 해방
7 심층전면근막경선
8 요약
9 시동병是動病 과 소생병所生病
10 시동병의 좌이욕기
11족소음신경근足少陰腎經筋
12 주치병
13 족소음신경별足少陰腎經筋
PART 2경락의 五運, 六氣, 취상에 의한 치료
1 오운육기(五運六氣)
2 오운육기와 사암침법
PART 3 장부간의 관계(상합 상통)五行의 특성을 이용 해당 경락에 속하는 臟腑의 전형적인 병들을 치료
1 신장의 주요생리
2 신장의 장상
3 신장의 병리
4 김관우 원장님
5 장부간의 관계(상합 상통)
PART 4 正格, 勝格등을 구성하는 穴자리들의 특성에 의한 치료
PART 5 복진 맥진 설진
PART 6 환자 설문지 작성
PART 7 족소음 신정격 신승격의 임상활용
1 김관우 원장님
2 총통침법
PART 7 체질적 관점에서 족소음 신정격 신승격의 운용
PART 8 경험에서 알아낸 효과들에 사용
1사암도인 침구요결
2 전현우 선생님 집대성 사암경 주석
3 월오 사암침법
PART 9 사암침법 족소음신경 관련 논문들
1 가속도맥파로 평가한 당뇨군과 정상군의 신정격 자침으로 인한 혈관변화
2 사암도인침법에서 태백혈의 운용에 대한 연구
3 쇼그렌 증후군 환자에서의 단백뇨 치험 1례
4심정격(心正格)의 보혈(補穴), 신정격(腎正格)의 보혈(補穴), 심정격(心正格)의 보혈(補穴) 배(配) 신정격(腎正格)의 보혈(補穴) 및 심정격(心正格) 자침(刺鍼)이 실험적(實驗的) 뇌허혈(腦虛血)에 미치는 영향(影響)
5 중증근무력증이 한의학적 치료로 개선된 임상 1례
PART 10 사암침법 임상사례 모음
PART I 경락의 유주 선상의 병들을 치료
1신장 경락과 경근, 경별의 유주 노선과 병증
경락의 유주를 알아야 하는 이유?
한방생리 이론에 근거하여 경락유주와 오장 육부의 생리 병리를 알아야 임상에서 진단과 치료를 잘 할수있습니다
육부의 경우에는 유주가 곧 생리라고 할 만큼 관련이 깊습니다
오장에서는 간장혈, 심장신, 비장영, 폐주기, 신장정으로 병리를 구성하고 병을 치료합니다
신장의 경락유주와 생리, 병리를 이해하면 치료할 수 있는 질환들을 알수 있습니다
-총통 침법 이 치웅 원장님의 말씀을 정리해서 소개해 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