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소음신경 흐름 流注 유주
www.youtube.com/watch?v=l2OSZH0sJFY&ab_channel=%EC%83%9D%ED%99%9C%EA%B3%BC%EA%B1%B4%EA%B0%95
실제 코어의 역할을 인체에서 구현하고 있는 것은 바로 신장경맥과 경근, 심층전면근막경선 DFL
족소음신경足少陰腎經 흐름流注 ![]()
|
족소음신경에는 27쌍의 혈 腎足少陰之脈, 起于小指之下 신족소음신맥 기어소지지하
邪走足心 (涌泉穴) 사주족심 (용천혈)
出于然骨之下 (然谷穴) 출우연골지하 (연곡혈)
循內踝之後 (太谿穴) 순내과지후 (태계혈)
別入跟中 (大鍾穴) 별입근중 (대종혈)
以上踹內 (復溜穴) 이상단내 (복류혈)
出膕內廉 (陰谷穴) 출괵내렴 (음곡혈)
上股內後廉 상고내후렴
貫脊 관척
屬腎 속신
絡膀胱 낙방광
其直者, 從腎上貫肝膈 기직자, 종신상관간격
入肺中 입폐중
循喉嚨 挾舌本 순후롱 협설본
其支者 從肺出 絡心 注胸中 기지자 종폐출 낙심 주흉중 |
족소음신경 흐름 流注 유주와 병증
|
腎足少陰之脈, 起于小指之下 신족소음신맥 기어소지지하 족소음신경은 새끼발가락 밑에서 시작
邪走足心 (涌泉穴) 사주족심 비스듬히 발바닥 중심(용천혈)을 달려
족저감각이상(열감, 냉감), 족저근막염, 족5지 불인, 무력,
出于然骨之下 (然谷穴) 출어연골지하 주상골의 아래로 나와
循內踝之後 (太谿穴) 순내과지후 안쪽 복숭아뼈 주위를 따라 돌아
別入跟中 (大鍾穴) 별입근중 따로 뒤꿈치로 들어갑니다.
족근통 태계-연곡 부위통증 족내과부위 염좌(TCL)
以上踹內 (復溜穴) 이상천내 장딴지 안으로 올라가
出膕內廉 (陰谷穴) 출괵내렴 오금 안쪽으로 나와
슬통, 슬부종, 관절연발음
上股內後廉 상고내후렴 위로 허벅지 안쪽 뒷면으로 올라가서
허벅지 안쪽, 뒤쪽 당김, 저림
貫脊 관척 척추를 뚫고
명문주변의 변색, 기상시 요부 무력, 요통 / 꼬리뼈, 고관절, 척추 통증
속신 신에 속하고
정력감퇴, 발기부전, 유정, 몽설, 도한, 오경설사, 분돈(奔豚), 목신(木腎)
분돈(奔豚) 분돈기(奔豚氣). 신적(腎積). 오적(五積)의 하나. 신기(腎氣)가 허약하여 비(脾)의 습사(濕邪)가 들거나, 발한(發汗) 후 소침(燒鍼)을 잘못 놓아 침구멍에 한사(寒邪)가 들어가 기가 상충(上衝)함. 아랫배에서 가슴으로 또는 인후까지 기가 치밀어 오르는 것이 마치 돼지가 달리는 것 같음. 흉복통(胸腹痛)이 있고, 한열(寒熱)이 오가며, 배꼽 밑에 동계(動悸)가 있음. 오래되면 기천(氣喘), 해역, 골위(骨痿), 소기(少氣) 등이 나타남. 참고 영추사기장부병형(靈樞邪氣臟腑病形)
목신(木腎) 방사(房事) 과도로 신경이 쇠약해져서 음경이 병적으로 계속 일어나고 아픈
황수 주변 은은히 아픔, 황수 압통
絡膀胱 락방광 방광에 연락
소변빈삭, 소변불통, 야간뇨, 잔뇨감, 세뇨감
其直者, 從腎上貫肝膈 기지자 종신 상관간격 똑바로 올라가는 가지는 신장을 따라 위로 간과 횡격막을 뚫고
入肺中 입폐중 폐로 들어가
循喉嚨 挾舌本 순후롱 협설본 목구멍을 따라 혀뿌리를 끼고 갑니다.
인후부 통증, 편도 잘 부음 치아 삐뚤함, 잇몸출혈, 치아 시림 건조성 비염, 비문증, 영풍출누, 원시, 안구건조증 이명, 이롱 탈모, 새치 얼굴 검고 수척, 윤기 없음
其支者 從肺出 絡心 注胸中 기지자 종폐출 낙심 주흉중 그 가지는 폐를 따라 나와 심에 연락하고 가슴속 (가슴 속으로 가서, 接手厥陰心包經, 심포, 곧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경맥인 심포경과 교차)
족소음경은 “순후롱, 협설본”하며 그 분지가 “종폐출락심, 주흉중” 하므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