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부혈 삼부혈 이부혈 침법에 관한 소개
碩 士 學 位 論 文
김홍경의 舍岩鍼法 이론정립 과정과 三符鍼法 運用에 관한 硏究
大田大學校大學院
韓醫學科原典學敎室
丁 海 明
指導敎授 尹 暢 烈
2014年 2月
1. 緖 論
金烏1) 김홍경은 한국 고유의 傳統鍼法인 舍岩鍼法을 재발굴하여 한국
한의학을 대표하는 鍼法으로 계승‧발전시킨 인물로 舍岩鍼法을 한의과대
학에서 가장 중심이 되는 鍼法의 하나로 정립하는데 지대한 영향력을 미
쳤으며, 국내외 임상가들에게 舍岩鍼法을 널리 보급하는데 결정적인 역할
을 한 한의학자이다.2)
舍岩鍼法은 龜巖 허준의 東醫寶鑑, 東武 이제마의 四象醫學, 石谷 이규준
의 부양론 扶陽論등과 더불어 한국 한의학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이다.
현재 한의학계 내부에서도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선정된
『東醫寶鑑』에 이어 舍岩鍼法과 四象醫學을 우선항목으로 선정해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 등재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한국 한의학을 대표하는 鍼法인 舍岩鍼法의 특징은 十二經脈의 肘膝關節
아래에 분포한 오수혈의 五行특성을 고려하여 迎隨補瀉, 九六補瀉, 呼吸補
瀉, 開闔補瀉, 徐疾補瀉 등의 補瀉法을 運用하는 것인데, 안전하면서도 치
료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는 舍岩鍼法에서 활용하는 오수혈이 일반혈과 달리 국부의 병증을 치
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체의 생리활동을 영위하는 중추기관인 臟腑
의 虛實을 補瀉하여 臟腑의 병증을 직접적으로 치료하는 기능을 지닌 重
要經穴이라는 특성에 기인한다.3)
역사적으로 고찰해보면 오수혈을 이용한 鍼法은 『東醫寶鑑』 鍼灸法의
영향을 받았다. 『東醫寶鑑』 鍼灸法에서는 병증의 원인을 臟腑중심으로
분석하고, 近位취혈도 하지만 오수혈을 이용한 遠位취혈을 중심으로 치료
한다. 이는 병증을 診斷하고 분석한 것을 토대로 臟腑辨證을 하여 치료방
법으로 오수혈을 運用하는 것이 치료효과가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그리
1) 鏡虛, 滿空의 법을 이은 惠菴 玄門 大禪師는 김홍경에게 ‘金烏’라는 이름과 함께 다음과 같은
시를 하사하였다.
金烏欲出海門東 금까마귀가 장차 동해에서 떠오르려고 하니
一室廖廖絶異同 한방이 고요하고 고요하여 같고 다름이 끊어졌도다.
山河大地顯眞光 산하대지가 참된 광명을 드러내니
六窓內外拂淸風 육근의 여섯 창 안팎이 청풍으로 씻겨 지도다
2) 정해명.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가설형성 배경과 그 運用에 관한 硏究. 국제아시아전통의학대회
(ICTAM) 발표논문. 2013.
3) 윤창열. 醫哲學. 주민출판사. 2011. pp.313-315.
고 補瀉法은 허임의 『鍼灸經驗方』의 영향을 받았는데, 허임은 기존의
補瀉法에 자신의 경험을 살린 독창적인 補瀉法을 융합한 『鍼灸經驗方』
을 저술하였다. 한 穴位를 補하기도 하고 瀉하기도 하는 補瀉法은 치료의
행위자가 마음대로 穴位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치료의 능동성을 보
여준다. 또한 瀉法을 이용하여 穴位를 치료하면, 그 穴性을 제지하는 효과
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반대되는 穴性을 강화시킨다는 점에서 다양한 치료
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4)
舍岩鍼法의 창시자인 舍岩道人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하지만 『舍岩道
人鍼灸要訣』에서 “舍岩道人은 400여 년 전인 壬亂당시 僧兵을 지휘하여
많은 戰功을 세우고 군사로 日本에 건너가 여러 가지 異蹟을 나타내어 倭
人들의 肝膽을 서늘하게 한 저 유명한 四溟堂 松雲大師5)의 수제자라 한
다.”라고 하여 舍岩道人에 대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舍岩道人이 누구인지는 아직까지 더 연구해야 하지만, 舍岩鍼法을 만들어 많은 민중들의 아픔을 어루만지던 道人이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인 것 같다.6)
조선중기 舍岩道人에 의해 창시된 舍岩鍼法은 舍岩道人에 대한 정확한
기록이 없고, 1900년대 이전까지 필사본의 형태로만 전해져서 베일에 싸
여져 있었다. 그러다가 金烏 김홍경, 조세형 등 舍岩鍼法 연구가들에 의해
한의학계에 널리 소개되어 이제는 현대 한의학을 대표하는 鍼法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7)
현재 한국의 한의학자들과 임상가들은 舍岩鍼法을 여러 방향에서 해석하
고 임상에 응용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또한 영어와 러
시아어로 된 舍岩鍼法 관련 도서도 간행하고 외국의 학회에서 임상발표를
하는 등 세계인들을 치유하는 鍼法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8)
2005년도에는 한의사 3,666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에서 傳統 韓國
鍼法으로 계승 보전해야 하는 鍼法으로 舍岩鍼法을 70.65%가 선택한 것
을 보아도 한의학계에 있어 매우 중요한 鍼法임을 알 수 있다.9)
4) 정유옹. 舍岩鍼法의 發展과 海外傳播過程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2.
5) 四溟堂 松雲大師(1554 – 1610)의 法號는 松雲, 名은 惟政이다. 그의 이름은 內外를 通하여 生佛로
알려졌었다. 金烏 김홍경. 東洋醫學革命 總論. 神農百草出版社. p.62.
6) 정유옹. 舍岩鍼法의 發展과 海外傳播過程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15.
7) 김남일. 한의학에 미친 조선의 지식인들, 들녘. 2011. p.221.
8) 정유옹. 舍岩鍼法의 發展과 海外傳播過程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p.3.
9) 노승희. 舍巖鍼法의 形成과 發展에 관한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p.1.
舍岩鍼法이 본격적으로 세상에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는 지난 1980년대
초부터 진행이 된 金烏 김홍경의 『舍岩道人 鍼術原理 40일 講座』라고
할 수 있다. 그는 1984년 광화문에 神農百草한의원을 개원한 이래로 최근
까지 국내외 한의과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동∙하계 방학기간 동안 총 30
차에 걸쳐 『舍岩道人 鍼術原理 40일 講座』를 개최하여 舍岩鍼法 전수교
육과 전국순회 대국민 의료봉사활동을 앞장서서 추진하였다.10)
그의 저술과 TV강좌는 대중들에게 한의학에 대한 센세이션을 불러일으
켰다. 특히 2001년 EBS 교육방송에서 방영된 『金烏 김홍경이 말하는 동
양의학』은 당시 EBS사상 최고의 시청률을 기록하여 한의학에 대한 국민
들의 호감을 높이고, 한의학 건강 상식을 대중화하는데 크게 일조하였
다.11)
그 해 인터넷 Daum에 개설된 『金烏 김홍경을 사랑하는 사람들』
이라는 모임은 2013년 12월 현재 회원수가 8,600명을 돌파하여 EBS, 불교
TV 등에서 진행한 그의 강의를 Daum, Naver, Youtube 등 인터넷 매체
를 통하여 널리 확산시키는 진원지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그의 강좌를 수강한 대중수강생들에 의하여 ‘三符穴’, ‘二符穴’, 天符穴’등
그의 학술적 성과물을 토론하고, 전파시키는 硏究공동체로 기능하며 한의학
의 대중화와 舍岩鍼法의 대국민 홍보에 크게 이바지하는 대중지성의 산실
로 자리 잡았다.
30여 년 동안 사재를 출연하여 의료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지역을 찾아다
니며 끊임없이 진행된 그의 전국순회 대국민 의료봉사활동은 2010년 9월
16일부터 10월 16일까지 한 달 동안 진행된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에
서 절정을 이루었다.12)
행사기간 동안 직접진료를 하여 하루 최대 1,515명, 행사기간 총 25,066
명의 환자를 진료하는 역사적인 기록을 남기며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13) 한의학자로서 이렇게 대중들로부터 사
랑을 받은 것은 유사 이래 처음 있는 일로 한의학 대중화 역사에 있어 매
10) 정해명.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가설형성 배경과 그 運用에 관한
회(ICTAM) 발표논문. 2013.
11) 정해명.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가설형성 배경과 그 運用에 관한
회(ICTAM) 발표논문. 2013.
12) 정해명.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가설형성 배경과 그 運用에 관한
회(ICTAM) 발표논문. 2013.
13) 정유옹. 舍岩鍼法의 發展과 海外傳播過程 硏究. 경희대학교 대학원
硏究. 국제아시아전통의학대
硏究. 국제아시아전통의학대
硏究. 국제아시아전통의학대
박사학위논문. 2013. p.84.
우 뜻 깊은 의미를 지닌다.14) 그는 2013년 12월 3일 대한한의사협회 창립
115주년 기념식에서 한의학의 학술적 발전과 의료봉사에 대한 그간의 공
로를 인정받아 『한의혜민대상』을 수상하였다.
현재 金烏 김홍경이 창안한 天符穴, 二符穴, 三符穴 이론에 기반을 둔 다
양한 三符鍼法의 運用조합은 舍岩韓方醫療奉仕團, 舍岩鍼法硏究會 회원들
에 의해 임상현장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15) 또한 무의촌 게릴라 의료봉
사 및 국제한의학박람회, 금산인삼축제, 제천국제한방바이오엑스포, 산청
세계전통의약엑스포 등 의료봉사현장에서 즉각적이고도 뛰어난 치료효과
로 늘 화제를 모으며 한의학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를 높이는데 크게 공헌
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舍岩鍼法은 그 運用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파가 이루
어져 이미 小谷 이재원, 暘谷 조세형, 東原 이정래 등 나름대로 舍岩鍼法
을 硏究한 여러 학자들의 舍岩鍼法 運用法이 정리된 논문들이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다. 하지만 독특한 방식으로 舍岩鍼法을 개척하여 일가를 이
룬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運用法은 硏究의 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
고, 최근까지 이에 대한 硏究가 논문을 통해 발표된 사례가 매우 희소한
실정이다. 이에 필자는 金烏 김홍경의 舍岩鍼法 이론이 정립된 과정과 三
符鍼法 運用에 관한 전반적인 체계를 硏究하여 학계에 보고하는 바이다.